[2025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지원] 조건, 금리, 신청방법 총정리
요즘 같은 전세값 폭등 시대에, 청년들이 독립하려면 제일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게 바로 **‘전세보증금 마련’**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전세자금 대출을 저금리로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전세보증금 대출 지원 제도들을 종류별, 조건별, 금리별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청년 전세자금 대출 제도 총정리
2025년 현재 신청 가능한 청년 전세 관련 주요 대출 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2.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신청 조건
-
만 19~34세 청년 (무주택자)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2인 이상 가구는 6천만 원 이하)
-
임차보증금 5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대출 내용
-
최대 한도: 7천만 원 ~ 1억 원
-
금리: 연 1.5%~2.1% (소득에 따라 차등)
-
기간: 기본 2년, 최장 10년까지 연장 가능
■ 신청 방법
-
주택도시기금(https://nhuf.molit.go.kr) 또는 국민·신한·우리은행 방문
3.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청년 맞춤형)
■ 대상
-
중소·중견기업 재직 중인 만 34세 이하 청년
-
무주택 세대주
■ 혜택
-
최대 1억 원까지 전세보증금 지원
-
금리 연 1.2% 고정, 이자부담 매우 적음
-
무보증/무담보 대출 가능
■ 특장점
-
청년 전용 상품 중 금리가 가장 낮음
-
대기업 재직자는 신청 불가
■ 신청 경로
-
시중 은행 (KEB하나, 우리, 국민은행 등)
4. 서울시 청년 월세+보증금 지원 (지자체형)
■ 대상
-
서울 거주 만 19~39세 청년
-
월세 70만 원 이하,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
■ 지원 내용
-
보증금 최대 2천만 원까지 무이자 대출
-
월세 20만 원까지 10개월간 지원 병행 가능
■ 특징
-
지자체에서 직접 운영하며 중복 지원 제한 적음
-
정부 월세지원과는 별도 신청 가능
■ 신청 경로
-
서울청년포털 또는 청년주택플랫폼
5. 전세자금 대출 신청 전 체크리스트
-
무주택 세대주 여부 확인
→ 주민등록상 단독 세대주 등록 필수 -
소득증빙 준비
→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소득확인서 필요 -
임대차 계약서 준비
→ 반드시 전세 계약 후 신청 가능 -
전입신고 필수
→ 대출 실행 전까지 전입 완료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6. 자주 묻는 질문 (Q&A)
Q. 취업한 지 얼마 안 돼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가능하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유리합니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1개월 이상 재직이면 신청 가능해요.
Q. 계약서 없이 신청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대부분 전세 계약 체결 후에만 대출 신청 가능하며, 잔금 전까지 실행 가능한 경우도 있어요.
Q. 대출받으면 청년도약계좌 같은 건 못 받나요?
A. 대출과 자산형성 지원 제도는 중복 가능합니다. 단, 월세지원과는 일부 중복 제한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해요.
마무리: 청년도 집 걱정 없이 시작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제 단순 지원금을 넘어서,
청년이 독립할 수 있도록 ‘거주 기반’부터 도와주는 방향으로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조건만 잘 맞는다면 1~2% 초저금리로 최대 1억까지 빌릴 수 있으니,
전세 계약 전 꼭 지원 가능한 제도부터 확인해보세요!